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시,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오세훈 시장 "송구"

알기쉽게 요약한 사회 이슈

by 자자지식 2025. 3. 19. 17:14

본문

서울시,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오세훈 시장 "송구"

서울시가 강남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지 한 달 만에 다시 지정하면서 논란이 커지자, 오세훈 시장이 사과했다.

  • 재지정 배경: 해제 이후 강남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변동성이 커졌다는 지적을 받아들임.
  • 재지정 대상: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 및 용산구 아파트
  • 기간: 3월 24일~9월 30일 (6개월간)
  • 추가 조치 가능성: 시장 과열 지속 시 인근 자치구도 추가 지정 검토

오 시장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하면서도, 토지거래허가제가 "반시장적 규제"라는 기존 입장은 유지했다.

  • 토지거래허가제 장점: 실수요자 중심 시장 형성 유도
  • 단점: 자유로운 거래를 침해하는 반시장적 규제
  • 정부 개입 원칙: 시장이 독점이나 투기로 왜곡될 경우 최소한으로 개입

결론적으로, 오 시장은 정부 개입이 필요할 때만 최소한으로 규제를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Seoul Reinstates Land Transaction Permit Zone in Gangnam… Mayor Oh Se-hoon Apologiz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reinstated the Land Transaction Permit Zone in Gangnam just one month after lifting it, sparking controversy. In response, Mayor Oh Se-hoon issued an apology.

  • Reason for Reinstatement: Acknowledging concerns over increased volatility in the real estate market, especially in Gangnam, following the lifting of restrictions.
  • Designated Areas: Gangnam, Seocho, and Songpa—collectively known as the "Gangnam 3 Districts"—as well as Yongsan-gu apartments.
  • Effective Period: March 24 – September 30 (six months).
  • Potential Additional Measures: If the market continues to overheat, other nearby districts may also be considered for designation.

Mayor Oh explained that the measure was inevitable to stabilize the real estate market but maintained his stance that the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is an "anti-market regulation."

  • Pros of the System: Helps form a market centered on real demand.
  • Cons: Restricts free transactions and interferes with market principles.
  • Principle for Government Intervention: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be minimal and only applied when the market is distorted by monopolization or speculation.

In conclusion, Mayor Oh emphasized that regulations should be used only as a last resort when necessary.

관련글 더보기